크레이지 하우스 편집하기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9번째 줄: 199번째 줄:
대탈출은 점점 세트장의 퀄리티는 진화하고 스토리는 탄탄해졌다. 그러나 대탈출의 중심요소였던 퍼즐이 점점 없어진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려웠다. 대탈출 팬 중에는 시즌 1의 그야말로 '퍼즐퍼즐퍼즐퍼즐퍼즐퍼즐'식 에피소드였던 [[사설 도박장]], [[유전자 은행]]을 그리워하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었다.  
대탈출은 점점 세트장의 퀄리티는 진화하고 스토리는 탄탄해졌다. 그러나 대탈출의 중심요소였던 퍼즐이 점점 없어진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려웠다. 대탈출 팬 중에는 시즌 1의 그야말로 '퍼즐퍼즐퍼즐퍼즐퍼즐퍼즐'식 에피소드였던 [[사설 도박장]], [[유전자 은행]]을 그리워하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었다.  


이번 크레이지 하우스는 퍼즐 덕후들의 이상을 제대로 충족시켰다. 크레이지 하우스에서는 그야말로 분량 70%가 퍼즐을 푸는데 소비했다. 또한 퍼즐들의 난이도도 적당해 '시청자도 같이 참여하는 대탈출'이 되었으며, 퍼즐을 풀며 나오는 웃음요소도 많았다. 시즌 1의 감성을 보는 느낌이었다.  
이번 크레이지 하우스는 퍼즐 덕후들의 이상을 제대로 충족시켰다. 크레이지 하우스에서는 그야말로 분량 70%가 퍼즐을 푸는데 소비했다. 또한 퍼즐들의 난의도도 적당해 '시청자도 같이 참여하는 대탈출'이 되었으며, 퍼즐을 풀며 나오는 웃음요소도 많았다. 시즌 1의 감성을 보는 느낌이었다.  


그렇다면 스토리 등 대탈출3 ~ 4에서의 '스토리 중심 대탈출'의 묘미가 완전히 사라졌는가? 그것은 아니다. 크레이지 하우스에는 '테러범의 무의식에 들어가 테러 장소와 시간을 예측해라'라는 스토리가 있었다. 지령을 따라 장소들을 이동하면서 단서를 찾아 정체를 밝혀낸다는 스토리 중심 대탈출의 요소도 있었다.  
그렇다면 스토리 등 대탈출3 ~ 4에서의 '스토리 중심 대탈출'의 묘미가 완전히 사라졌는가? 그것은 아니다. 크레이지 하우스에는 '테러범의 무의식에 들어가 테러 장소와 시간을 예측해라'라는 스토리가 있었다. 지령을 따라 장소들을 이동하면서 단서를 찾아 정체를 밝혀낸다는 스토리 중심 대탈출의 요소도 있었다.  
207번째 줄: 207번째 줄:
또한 무의식이 바뀌는 것을 뜻하는 장소 이동 구성도 호평을 받았다. 단순히 옆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아닌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은 상당히 고난이도인데, 이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미술감독, 무대감독의 땀이 많이 들어갔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무의식이 바뀌는 것을 뜻하는 장소 이동 구성도 호평을 받았다. 단순히 옆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아닌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은 상당히 고난이도인데, 이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미술감독, 무대감독의 땀이 많이 들어갔을 것으로 보인다.  


정리하자면, 크레이지 하우스는 퍼즐퍼즐퍼즐로 대탈출 초기의 느낌을 주면서도 최근 대탈출의 느낌(스토리.)를 버리지 않은 에피소드이다.
정리하자면, 크레이지 하우스는 퍼즐퍼즐퍼즐로 대탈출 초기의 느낌을 주면서도 최근 대탈출의 느낌(스토리.)를 버리지 않은 에피소드이다.  
 


=== 02화. ===
=== 02화. ===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